전체 글 124

react - hook

강의를 보면서 따라하던 중 useState, useHistory , useParams 라는 훅을 사용하면 해결됩니다.... 라며 자꾸 훅 훅 하는게 아니겠는가? '훅' 이게 대체 무엇인가 검색해봤다. component에는 class형 과 function형 두가지가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. class형이 먼저 만들어졌고 그 이후 버전에서 function형이 추가됐다던지 뭐 그런식 그래서 ? 훅이 뭐냐구... function component 에서도 class component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스킬 이라고 한다. 또한 이것을 사용하야 function component 에서도 component 상태값을 관리할 수 있고 컴포넌트 생명 주기 함수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단다. 전자는 알겠는데.....

Frontend/React 2021.06.04

react - Switch

React router - dom 의 Component임 React router는 주소창 입력값이 경로(path) 에 일치하면 그냥 다 출력해 준다고 했슴다. 주소창에 abc.com/main 을 입력했을 때 Switch 태그가 없다면 /main 의 내용과 /:id의 내용을 전부 출력해줄거임. ※ :id 는 "아무 문자열" 이라는 뜻 페이지를 나누려고 Route를 쓰는건데 ... 동시출력을 원하진 않았단 말이쥬..... 그래서 사용하는 것이 Switch 입니당 이 친구는 Switch 사이에 있는 모든 Route 태그 중에 여러개가 중복해서 일치한다면 최상단 Route태그 하나만 출력해줍니댜잇 ! 끝

Frontend/React 2021.06.01

react - exact path

더보기 exact = 정확한 path = 경로 Route 태그 사용할 때 아래 예제 1 에서 주소창에 abc.com/ 입력하면 --> " 메인페이지" 출력 주소창에 abc.com/detail 입력하면 --> " 메인페이지" and "디테일페이지" 둘다 출력됩니다 React router는 path(경로) 에 해당하는 값이 입력되면 전부 다 출력하도록 생겨 먹었답니다. 하하 ​​ 이거이 맘에 안든다 싶으시면 아래 예제 2와 같이 exact path 라고 써주시면 됩니다. 고러면 "정확한 경로에 해당하는 입력이 들어와야만 출력 하겠습니다 " 라는 말이랍니다. 고로 "입력값이 정확히 'abc.com/' 이 아니면 메인페이지는 안보여줄거에요 ~~"" 라는 말 이제 주소창에 abc.com/detail 입력하면 --..

Frontend/React 2021.05.26